레위기 1장
레위기 1장 - 17절 번제
(레위기 1장 1절)
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레위기 1장 2절)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가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레위기 1장 3절)
그 예물이 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회막 문에서 여호와 앞에 기쁘게 받으시도록 드릴지니라
(레위기 1장 4절)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할지니 그리하면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
(레위기 1장 5절)
그는 여호와 앞에서 그 수송아지를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 문 앞 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레위기 1장 6절)
그는 또 그 번제물의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뜰 것이요
(레위기 1장 7절)
제사장 아론의 자손들은 단 위에 불을 붙이고 불 위에 나무를 벌여 놓고
(레위기 1장 8절)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뜬 각과 머리와 기름을 단 위에 있는 불 위에 있는 나무에 벌여 놓을 것이며
(레위기 1장 9절)
그 내장과 정강이를 물로 씻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전부를 단 위에서 불살라 번제를 드릴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레위기 1장 10절)
만일 그 예물이 양이나 염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드릴지니
(레위기 1장 11절)
그가 번제물의 북쪽 여호와 앞에서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레위기 1장 12절)
그는 그것의 각을 뜨고 그것의 머리와 그것의 기름을 베어 제사장이 그것을 단 위 불 위에 있는 나무 위에 벌여 놓을 것이며
(레위기 1장 13절)
그 내장과 정강이를 물로 씻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전부를 가져다가 단 위에서 불살라 번제를 드릴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레위기 1장 14절)
만일 여호와께 드리는 예물이 새의 번제이면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새끼로 예물을 드릴 것이요
(레위기 1장 15절)
제사장은 그것을 단으로 가져다가 그것의 머리를 비틀어 끊고 단 위에서 불사르고 그 피는 단 곁에 흘릴 것이며
(레위기 1장 16절)
그것의 모이주머니와 그 더러운 것은 제거하여 단 동쪽 재 버리는 곳에 던지고
(레위기 1장 17절)
또 날개 자리에서 그 몸을 찢되 아주 찢지 말고 제사장이 그것을 단 위에서 불살라 번제를 드릴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레위기 1장은번제(燔祭, burnt offering)에 대한 규례로 시작됩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헌신의 상징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자신을 온전히 드리는 제사의 출발점입니다.
레위기의 첫 장이 번제로 시작된다는 건, 하나님 앞에 나아가는 모든 신앙의 출발은 '전적인 헌신'이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레위기 1장 코멘트 요약(묵상 포인트)
레위기 1장 1~3절 : 번제의 개요
- 하나님이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말씀하심
- 사람이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 번제물은 소, 양, 염소, 비둘기 중 흠 없는 수컷이어야 함
※묵상포인트
예물은 마음대로가 아니라, 하나님이 정하신 방식으로 드려야 합니다.
"흠 없는 수컷"은 정결함과 헌신의 상징이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그림자로도 이해됩니다.
"나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와 삶을 얼마나 정결하고 준비된 마음으로 드리고 있는가?"
레위기 1장 4~9절 : 소 번제의 구체적 절차
- 예배자가 자신의 손을 제물 머리에 얹고, 그 짐승을 잡음
- 제사장은 피를 제단에 뿌리고,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뜸
- 내장과 정강이는 물로 씻어 태움
※묵상포인트
예배자의 손 얹음은 대속(代贖)의 상징입니다.
즉, "이 제물이 나 대신 죽습니다"라는 죄에 대한 책임 전가의 행위입니다.
제물을 직접 죽여야 했다는 것은 죄의 대가와 진지함을 상기시켜 줍니다.
"나는 예배를 드릴 때, 그 안에 나의 죄와 회개, 감사를 담고 있는가?"
레위기 1장 10~13절 : 양과 염소의 번제
- 제물은 흠이 없어야 하며,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피, 각 뜸, 씻음, 태움이 반복됨
※묵상포인트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는 이유는 하나님께 드리는 헌신과 정결은 예외가 없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큰 동물이나 작은 동물이나, 하나님은 그 중심을 보십니다.
"나의 헌신은 크기보다 정성과 진실함이 담겨 있는가?"
레위기 1장 14~17절 : 비둘기 번제 (가난한 자를 위한 제물)
- 산비둘기나 집비둘기를 제물로 드릴 수 있으며, 제사장이 머리를 비틀어 불사르고, 피를 제단에 흘림
※묵상포인트
하나님은 가난한 자도 예배에서 배제하지 않으셨습니다.
물질이 아니라 마음의 진정성이 제사에 담겨야 함을 보여줍니다.
"나는 있는 형편 안에서 하나님께 드리고 있는가, 핑계를 대고 있는가?"
레위기 1장은 단순히 제사법이 아니라,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기 위해선 정결함, 회개, 헌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줍니다.
"예배는 값없는 것이 아니다. 나를 대신해 희생된 제물의 은혜를 기억하며, 나는 오늘도 하나님께 나 자신을 드리는 삶을 살고 있는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