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구리/유용한 정보

유모차 유아차 디럭스 절충영 휴대용 비교(+성평등 단어)

by 코코아빠 2023. 11. 17.
반응형

시대에 따라 바뀌는 언어

언어는 우리의 생각과 가치관을 반영합니다.

그래서 바뀐 단어 유아차

 

유모차 유아차

 

유모차라는 단언은 일본에서 Stroller Baby carriage에 대응하여 만든 번역어로, 원래 유모가 아이를 돌볼 때 쓰는 수레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엄마만 끌어야 된다는 의미가 풍기는 '유모차' 대신 성평등적인 의미를 담은 '유아차'라는 표현이 등재되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둘 다 정답이긴 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11월 '유모차와 유아차 모두 표준어로 등재돼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다만 유모차를 유아차나 아기차로 순화한 이력이 있다는 점에서 되도록 유아차나 아기차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건장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유아차(유모차) 종류

디럭스 유모차

장점

- 안정성 가장 우수함

- 시트 포지션 높음

- 수납 공간이 큰 편

 

단점

- 무거운 편

- 폴딩해도 부피 큼

- 가격대 비싼 편

 

대표제품

- 스토케 익스플로리 부가부 폭스

- 에그 2 하이엔드

- 싸이벡스 프리암

- 미마자리

 

절충형 유아차

장점

- 디럭스와 휴대용 중간

- 탑승감 좋은 편

- 수납공간 적당한 편

- 차타고 외출 가능

 

단점

- 디럭스와 휴대용 중간

 

대표제품

- 리안 솔로

- 부가부 비

-잉글레시나 일렉타

- 시크 미뇽

 

휴대용 유아차

장점

- 무게가 가벼움

- 기내 반입 되는 제품 有

- 폴딩 잘 됨

 

단점

- 충격 흡수 잘 안됨

- 바퀴 작고 프레임 얇음

 

대표제품

- 타보 플렉스텝

- 와이업 지니제로

- 스토케 요요

- 리안 그램플러스

- 부가부 버터플라이

- 잉글레시나 뉴 퀴드


대충 표로 정리해 보면 이런 느낌이네요.

  디럭스 절충형 휴대용
무게 무거움 보통 가벼움
승차감 뛰어남 중간 좋지않음
휴대성 낮음 중간 좋음
가격 비쌈 중간 저렴

 

 

보통 처음 시작은 디럭스로 태우다가 점점 휴대용으로 태우는 편이긴 합니다.

 

 

그 외 성평등 단어

여교사, 여직원, 여교수교사, 직원, 교수

= 남성형을 기본으로 여성형이 파생된 단어(ex 여류작가, 여의사, 여군 작가, 의사 군인)

 

저출산 → 저출생

= '아이를 적게 낳는다'는 뜻으로 저출산의 책임이 여성에게 있는 것으로 오인 소지 있음

 

유모차 → 유아차

= 모(母)만 유모차를 사용한다는 의미로 평등육아 개념에 반대됨

 

맘스스테이션 → 어린이 승하차장

= 육아 관련 어휘에서 '맘(엄마)'의 역할만 강조 (ex 맘카페 육아카페)

 

미망인 → ○ ○ ○씨의 배우자

= '남편이 죽으면 아내가 따라가야 한다'는 중국 고대 순장 제도가 배경이 된 단어

 

○ ○ 맨 → ○ ○ 퍼슨

= 남성 중심이 아닌 성별 구분 없는 표현 사용 (ex 비즈니스맨 → 비즈니스퍼슨)

 

버진로드 → 웨딩로드

= '처녀의' '순결한'의 뜻을 지닌 단어가 여성을 뜻함

 

자궁 → 포궁

= 아들뿐 아니라 딸도 잉태할 수 있음

 

부녀자 → 여성

= 결혼 여부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해야 함

 

처가 → 처댁

= 시댁만 높여 부르지 않고 동일하게 표현

 

친가, 외가 → 아버지 본가, 어머니 본가

= 바깥 외(外)라는 표현이 거리 있게 느껴짐

 

장인·장모·시아버지·시어머니 → 아버님·어머님

 

도련님, 아가씨 → 부남, 부제

= 처재·처남과 달리 존대의 표현을 사용

 

집사람·안사람 → 배우자

= 남성은 집 밖에서, 여성은 집 안에서 일한다는 인식

 

주부 → 살림꾼

= 한 집안의 살림살이를 맡아 꾸려가는 '여성'을 뜻함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