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구리/유용한 정보

영양제·식품 표기 용어 총정리(LOT, MFG, Best By, EXP, Use By, BB, BBE, Sell By 등) 유통기한 관련 자주묻는 질문

by 코코아빠 2025. 11. 20.
반응형

영양제나 식품을 보면 LOT, MFG, Best By, EXP 같은 영어 표기가 적혀 있어 헷갈릴 때가 많다.

이 용어들은 각각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알면 제품의 신선도, 품질, 안전성을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아래에서 각각의 표기를 가장 쉽게 정리했다.

 

영양제 식품 표기

 

LOT (제조번호)

LOT는 같은 조건으로 생산된 묶음을 의미하는 제조번호이다.

제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추적, 회수, 관리하기 위한 번호이며 날짜는 아니다.

 

MFG (제조일)

Manufacturing Date의 약자로 제품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를 나타낸다.

예: MFG 2024.05.01 → 2024년 5월 1일 제조

 

Best By / Best Before (품질 유지 기한)

가장 좋은 품질을 유지하는 기한이다. 지나도 섭취 가능할 때가 많지만 맛·향·효능이 떨어질 수 있다.

 

Dated (기재된 날짜)

Dated는 특정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표기된 날짜’라는 뜻이다.

뒤에 Best By, EXP, MFG 등이 함께 적혀 어떤 날짜를 뜻하는지 명확히 표시되는 방식이다.

 

EXP (만료일)

Expiration Date로 섭취 가능한 최종 기한이다.

지나면 먹지 않는 것이 맞고 안전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날짜다.

 

Use By (소비기한)

가장 엄격한 날짜 표기이다. 반드시 그 날짜 이전에 섭취해야 한다.

신선식품, 유제품, 아기용 제품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BB (Best Before)

Best Before의 약자이며 Best By와 동일하게 품질 유지 기한을 의미한다.

 

BBE (Best Before End)

해당 월의 마지막 날까지 품질을 보장한다는 뜻이다.

주로 유럽 제품에서 많이 사용되며 월/연도만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Sell By (판매기한)

매장에서 판매 가능한 기한이다.

소비자 기준의 섭취 날짜가 아니므로 실제 섭취 가능 기간은 더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Production Date (제조일)

제조일을 의미하며 MFG와 동일한 개념이다.

 

표기별 한눈에 요약

LOT: 제품 묶음 번호

MFG: 제조일

Best By/Best Before/BB: 품질 유지 기한

BBE: 월 말까지 품질 유지

EXP: 만료일

Use By: 반드시 그 이전에 섭취해야 하는 소비기한

Sell By: 매장 판매 기준일

Dated: 표기된 날짜

Production Date: 제조일

 

영양제 표기

 

영양제·식품 표기, 유통기한관련 자주묻는 질문

Best By 지나면 먹어도 될까?
Best By는 품질 유지 기한이라 날짜가 지나도 섭취 가능할 때가 있다. 하지만 품질은 떨어질 수 있다.

 

EXP 지나면 절대 먹으면 안 되나?
EXP는 만료일이므로 지나면 먹지 않는 것이 맞다.

 

Best By와 EXP의 차이는?
Best By는 품질을 보장하는 날짜, EXP는 섭취 가능한 최종 기한이다.

 

Use By와 Best By 중 더 중요한 것은?
Use By가 더 중요하다. 반드시 그 날짜 이전에 섭취해야 한다.

 

LOT 번호로 제조일을 알 수 있을까?
알 수 없다. LOT는 제조 묶음 번호일 뿐 제조일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MFG가 없으면 어떻게 해석할까?
EXP나 Best By 기준으로 대략 계산은 가능하지만 정확한 제조일은 알 수 없다.

 

BBE의 의미는?
해당 월의 마지막 날까지 품질이 유지된다는 뜻이다.

 

Sell By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날짜인가?
매장 기준일이라 소비자는 EXP와 Use By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영양제는 EXP 지나면 효과가 떨어지나?
효과 저하뿐 아니라 안전성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섭취를 권하지 않는다.

 

냉장 보관하면 Use By를 넘겨도 되나?
아니다. Use By는 어떤 보관 상태라도 넘어서는 안 되는 기한이다.

 

EXP와 Use By가 동시에 있으면 무엇을 기준으로?
Use By가 더 엄격하므로 Use By 기준으로 판단한다.

 

제조일(MFG)부터 유통기한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제품마다 유통기한이 다르므로 라벨 또는 제조사 정보를 봐야 한다.

 

Best By가 가까워지면 영양 효과가 떨어지나?
만료 직전까지는 보장되지만 이후에는 서서히 저하될 수 있다.

 

아이용 영양제는 EXP 지나면 왜 위험한가?
아이들은 변질된 성분에 더 민감해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직구 제품은 날짜 표기가 왜 다를까?
미국은 월/일/연도, 유럽은 일/월/연도 등 국가별 규칙이 다르기 때문이다.

 

04/07 날짜는 어떻게 해석할까?
미국 제품이면 4월 7일, 유럽 제품이면 7월 4일이다.

 

만료된 영양제는 냄새나 색으로 확인할 수 있나?
일부는 가능하지만 외관이 정상이어도 만료된 제품은 섭취를 권하지 않는다.

 

LOT 번호가 없으면 위험한가?
품질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제품일 수 있어 구매를 피하는 것이 좋다.

 

보관 온도는 Best By에 영향을 주나?
영향을 준다. 고온·습도는 성분 분해를 빠르게 한다.

 

Dated 표기는 언제 사용되나?
Dated는 ‘표기된 날짜’라는 뜻이며 어떤 날짜인지 설명과 함께 사용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