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구리/핫이슈

중국이 독도를 간접 언급한 이유는? - 중국의 전략적 발언

by 코코아빠 2025. 11. 17.
반응형

독도 문제는 한국과 일본 간의 영토 갈등이지만,
2025년 11월 17일 중국 외교부가 간접적으로 개입하는 듯한 발언을 하면서
다시 한 번 국제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이 직접적으로 “독도는 누구 땅이다”라고 언급하진 않았지만,
그 발언의 방향이 사실상 일본을 강하게 비판하며 한국에 힘을 실어주는 형태여서 주목받는 것이다.

 

오늘 있었던 외교부 정례 브리핑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이 왜 이런 입장을 취했는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독도 문제가 왜 다시 떠오르게 되었는지를 정리해본다.

 

 

중국 외교부의 발언: 직접 언급은 없었지만 사실상 ‘간접 지지’

2025년 11월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외교부 대변인 마오닝은
일본 정부가 도쿄의 ‘영토·주권 전시관’을 확장하며
독도 관련 전시물을 확대했다는 기자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우리는 관련 보도를 주목하고 있다.

 

최근 일본의 많은 악성 언행이 주변 국가들의 경계와 불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일본은 침략 역사를 진지하게 반성하고 평화의 길을 걸어야 한다.”

이 발언은 독도라는 단어 자체를 쓰진 않았지만
맥락적으로 보면 명확하게 일본의 독도 도발을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악성 언행’이라는 표현은 일본의 영토 홍보 활동 전반을 겨냥한 표현이며,
한국이 해당 전시 확대에 항의한 점을 중국이 알고 있다는 의미도 포함된다.
따라서 이번 발언은 외교적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한국의 입장에 우회적으로 힘을 실어준 발언으로 평가된다.

 

왜 지금 중국이 이런 입장을 냈을까?

중국은 원래 독도 문제에서 “당사국 간 문제”라며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해왔다.
그런데 왜 2025년 11월 17일에 맞춰 일본을 강하게 비판했을까?

 

첫째, 동아시아 정치·외교 긴장이 높아진 상황에서
일본의 군사적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려는 전략적 목적이 있다.

 

둘째, 일본의 우경화 흐름이 심화되면서
중국과 갈등이 잦아지고 있어
일본을 비판할 명분을 찾는 과정에서
독도 관련 이슈가 활용되고 있다.

 

셋째, 독도 문제는 한국과 일본이 충돌할 때
중국 입장에서는 외교적으로 유리한 지점을 만들 수 있는 영역이다.
일본과 한국의 갈등이 깊어질수록
중국의 상대적 입지는 강화된다.

즉, 중국의 이번 발언은
단순한 국제 논평이 아니라
중·일 관계의 현실적인 긴장 속에서 나온 전략적 메시지로 볼 수 있다.

 

 

독도 문제가 다시 이슈가 된 이유

최근 독도 문제가 다시 크게 떠오르는 이유는
한국이나 일본의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가 아니라
아시아 지역 전체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국내 정치적으로 지지율이 떨어지거나
경제·외교 문제가 쌓이면
전형적으로 ‘영토 문제’를 꺼내 지지층을 결집시키려는 전략을 쓴다.

 

이번 전시관 확대 역시 그 연장선에 있다는 분석이 많다.

중국은 이 상황을 기회로 삼아
“역사 문제를 제대로 반성하라”는 메시지를 일본에 던지며
독도 문제에 간접 개입하는 형태를 취했다.

 

이 때문에 독도 이슈는 다시 국제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하게 되었다.

 

 

결론: 중국의 발언은 ‘독도 문제의 국제적 확산’을 상징한다

중국은 독도 영유권 문제에서 공식적으로 어느 국가 편을 든 적이 없다.

 

그러나 이번 11월 17일 발언은
일본의 독도 홍보 활동을 강하게 비판했고,
맥락적으로는 한국의 문제제기를 인정한 셈이 된다.

 

이는 독도가 단순한 한일 간의 분쟁을 넘어
동아시아 정치·외교 역학 속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진 국제 이슈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독도는 역사·국제법·실효 지배 측면에서 명백히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이번 중국의 발언은 이를 둘러싼 국제적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