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민법 - 비진의표시 완벽정리!
공인중개사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민법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비진의표시입니다.
이름은 어렵지만, 핵심 원리를 이해하면 문제풀이가 훨씬 쉬워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진의표시의 의미, 요건, 법률효과, 그리고 통정허위표시·착오표시와의 차이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비진의표시란?
표의자가 자신의 진짜 의사와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 하는 의사표시를 말합니다.
다만,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만 무효가 됩니다.
핵심 암기: “알·알·무” → 알고 표시, 알았으면 무효!
2. 성립 요건
- ① 표의자가 진의와 다른 표시를 ‘고의’로 함
- ② 상대방이 있는 의사표시일 것(예: 계약)
- ③ 상대방이 표의자의 진의 아님을 ‘알거나 알 수 있었을 것’ (악의 또는 과실)
→ 위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무효가 되고, 상대방이 선의·무과실이면 유효가 됩니다.
3. 법률효과
요건이 충족되면 해당 의사표시는 무효입니다. 하지만 상대방이 선의라면 그 표시가 유효로 인정됩니다.
또한 선의의 제3자에게는 무효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4. 통정허위표시와의 비교
| 구분 | 비진의표시 | 통정허위표시 |
|---|---|---|
| 표의자 | 일방만 진의 아님 | 쌍방이 합의해 거짓 표시 |
| 효력 | 상대방이 악의·과실이면 무효, 선의면 유효 | 당사자 간 당연 무효 |
| 제3자 보호 | 선의의 제3자 보호 | 선의의 제3자 보호 |
5.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와의 비교
| 구분 | 비진의표시 | 착오표시 |
|---|---|---|
| 성질 | 무효(상대방 상태로 결정) | 취소(표의자 과실로 결정) |
| 요건 | 상대방의 악의·과실 | 중요부분 착오 + 중과실 없음 |
| 효과 | 무효 | 취소 가능 |
6.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예시 ① 장난계약
A가 농담으로 “그 차 1억에 살게요”라고 말함.
- B가 장난임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 무효
- B가 진심으로 믿는 게 정상이라면 → 유효
예시 ② 체면상 한 말
상사 권유에 못 이겨 “네, 매수하겠습니다.”라고 말했지만 살 마음이 전혀 없음.
- 상대방이 진의 아님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 무효
- 상대방이 몰랐다면 → 유효
7. 제3자 관계
비진의표시로 인한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는 주장할 수 없습니다.
즉, 제3자가 진의 아님을 몰랐다면 보호받습니다.
8. 단독행위의 경우
비진의표시는 원칙적으로 상대방이 있는 의사표시에만 적용됩니다.
상대방이 없는 행위(예: 유언)에는 일반적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9. 시험 포인트 요약
- 상대방이 선의라도 과실이 있으면 무효
- 통정허위표시와 구별: 쌍방 합의 여부 확인
- 착오표시와 구별: 착오는 취소, 비진의는 무효
- 제3자 선의 보호는 공통
10. 1분 암기 요약
비진의표시 = 일방 거짓 + 상대방 악의·과실 → 무효, 제3자 선의 보호
11. 셀프 테스트
- 비진의표시는 표의자가 진의 아님을 몰라야 성립한다 → ❌
- 상대방이 선의라도 과실이 있으면 비진의표시는 무효 → ⭕
- 비진의표시와 통정허위표시는 모두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 불가 → ⭕
- 비진의표시는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이다 → ❌ (요건 충족 시 무효)
12. 초압축 키워드
👉 일방 거짓 - 상대방 악과 - 무효 - 제3자 선의 보호

자주 묻는 질문(FAQ 20)
- 비진의표시란 무엇인가요?
- 비진의표시가 되려면 어떤 요건이 필요한가요?
- 상대방이 선의이면 유효인가요?
- 상대방이 과실이 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 비진의표시와 통정허위표시의 차이는 뭔가요?
- 비진의표시는 언제 무효가 되나요?
- 비진의표시의 제3자 효력은 어떻게 되나요?
- 비진의표시는 취소할 수 있나요?
- 비진의표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는?
- 단독행위에서도 비진의표시가 인정되나요?
- 착오표시와의 구별 포인트는?
- 시험에서는 어떤 형태로 출제되나요?
- 비진의표시는 형성권인가요?
- 비진의표시의 입증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
- 비진의표시의 효과는 언제부터 발생하나요?
- 상대방이 진의 아님을 ‘알 수 있었음’은 어떤 의미인가요?
- 비진의표시 후 제3자가 개입하면 누구 보호되나요?
- 통정허위표시와 함께 문제로 나오면 어떤 순서로 판단하나요?
- 비진의표시 관련 판례가 있나요?
- 비진의표시를 기억하기 쉽게 암기하는 방법은?
요약 한 줄
비진의표시는 “일방이 거짓으로 표시했을 때,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알거나 알 수 있었으면 무효”가 되는 법리입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에서는 통정허위표시, 착오표시와의 비교문제로 자주 출제되니 반드시 함께 암기하세요!
'교육 > 공인중개사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공인중개사 민법 취소사유 암기코드(무효 vs 취소) (0) | 2025.10.27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