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 주소 확인 방법 총정리
공인 IP와 내부 IP의 차이부터, Windows - Mac - Linux - iPhone - Android에서의 확인 방법, 공유기와 VPN 환경, 문제 해결,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한눈에 보기
- 공인 IP는 인터넷 상의 내 주소
- 내부 IP는 우리 집/회사 네트워크 안의 주소
- 공유기의 WAN이 공인 IP를 가짐
- 브라우저 검색창에 "내 IP" 입력
- Windows:
ipconfig
- Mac:
ifconfig
또는 시스템 설정
- IP 충돌 시 재부여
- DHCP 갱신 또는 재부팅
- DNS 캐시 비우기
기본 개념
공인 IP vs 내부 IP
- 공인 IP: 통신사에서 부여, 인터넷 상에서 외부에 보이는 주소
- 내부 IP: 공유기 안의 사설망 주소 예 192.168.x.x, 10.x.x.x, 172.16-31.x.x
IPv4 vs IPv6
- IPv4 예: 192.168.0.15
- IPv6 예: 2405:1234:abcd:1::5
- IPv6는 주소가 넉넉하고, 이중 스택 환경이 흔함
NAT - CGNAT
- NAT: 내부 여러 기기를 하나의 공인 IP로 인터넷에 연결
- CGNAT: 통신사 레벨 NAT. WAN이 100.64.0.0 - 100.127.255.255라면 포트포워딩이 제한될 수 있음
DHCP vs 고정 IP
- DHCP: 자동으로 내부 IP를 배정
- 고정 IP: 수동 설정. 충돌에 주의
공인 IP 확인
방법 1. 검색엔진에 "내 IP", "What is my IP"를 입력하면 바로 표시됩니다.
방법 2.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WAN 또는 Internet 항목의 IP를 확인합니다. 아래 "공유기에서 확인" 참조.
참고: 회사나 학교, VPN 연결 시에는 기관 또는 VPN 서버의 공인 IP가 보일 수 있습니다.
내부 IP 확인 - 기기별
Windows 10 - 11
그래픽 메뉴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Wi-Fi 또는 이더넷 → 연결된 네트워크 클릭
- 속성 또는 하드웨어 및 연결 속성에서 IPv4 주소 확인
명령 프롬프트
ipconfig
무선 LAN 어댑터 또는 이더넷 어댑터의 "IPv4 주소"가 내부 IP입니다.
PowerShell
Get-NetIPAddress -AddressFamily IPv4 | Where-Object {$_.IPAddress -notlike "169.254.*"} | Select-Object InterfaceAlias,IPAddress
macOS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설정 → 네트워크
- 사용 중인 Wi-Fi 또는 유선 네트워크 선택
- 상세 정보에서 IP 주소 확인
터미널
ipconfig getifaddr en0 ifconfig | grep "inet " networksetup -getinfo Wi-Fi
Linux (Ubuntu 등)
GUI
- Settings → Network
-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톱니바퀴 아이콘 → IPv4/IPv6 주소 확인
터미널
ip addr show hostname -I nmcli -p device show | grep -E "IP4.ADDRESS|IP6.ADDRESS"
iPhone - iPad (iOS - iPadOS)
- 설정 → Wi-Fi
- 연결된 네트워크의 i 버튼
- IPv4 주소 또는 IPv6 주소 확인
셀룰러 데이터 사용 시 내부 IP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공인 IP는 브라우저에서 "내 IP" 검색으로 확인합니다.
Android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인터넷
- 연결된 Wi-Fi를 탭 → 네트워크 상세 → IP 주소 확인
메뉴 명칭은 제조사나 OS 버전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LTE - 5G 데이터 사용 시 공인 IP는 브라우저에서 "내 IP"로 확인합니다.
공유기에서 확인
1) 기본 게이트웨이 찾기
- Windows:
ipconfig
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 macOS:
netstat -nr | grep default
- Linux:
ip route
의default via
2) 브라우저 주소창에 게이트웨이 입력 예: 192.168.0.1, 192.168.1.1
3) 관리자 로그인 후 상태 대시보드에서 WAN 또는 Internet 항목의 IP가 공인 IP입니다.
WAN이 10.x.x.x, 172.16-31.x.x, 192.168.x.x, 100.64-100.127.x.x라면 공인 IP가 아닌 사설 또는 CGNAT일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이 제한됩니다.
VPN 사용 시 주의
- VPN 연결 시 공인 IP는 VPN 서버의 IP로 바뀝니다.
- 사내 VPN은 특정 트래픽만 우회하거나 전체를 우회하도록 설정될 수 있습니다.
- 현재 경로는 다음으로 확인 가능:
Windows: route print macOS - Linux: netstat -nr 또는 ip route
문제 해결
IP 충돌 의심 같은 네트워크에서 동일 IP 사용
- Windows: 네트워크 어댑터 "사용 안 함" 후 다시 사용 또는
ipconfig /release
→ipconfig /renew
- Mac: Wi-Fi 끄기 → 켜기 또는 네트워크 설정에서 "DHCP 임대 갱신"
- 공유기 DHCP 범위와 고정 IP 대역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
인터넷은 되는데 특정 사이트만 안됨
- DNS 캐시 비우기
Windows: ipconfig /flushdns macOS: dscacheutil -flushcache; sudo killall -HUP mDNSResponder Linux: sudo systemd-resolve --flush-caches
- 브라우저 캐시 삭제, 다른 DNS 사용 테스트 예 1.1.1.1, 8.8.8.8
공인 IP가 자주 바뀜
- 대부분 가정용 회선은 유동 공인 IP
- 고정 IP가 필요하면 통신사 유료 옵션 문의 또는 DDNS 사용
원격 접속이 안됨
- CGNAT이면 직접 포트포워딩이 어려울 수 있음
- 공유기 포트포워딩, 방화벽, 사설망 이중 NAT 여부 확인
- 대안: VPN 서버 구축, 클라우드 리버스 프록시, Tailscale 등
명령어 치트시트
내부 IP 확인
Windows: ipconfig macOS: ipconfig getifaddr en0 Linux: hostname -I
게이트웨이 - 라우팅
Windows: route print macOS: netstat -nr Linux: ip route
DHCP 재요청
Windows: ipconfig /release && ipconfig /renew macOS: networksetup -setdhcp "Wi-Fi" Linux: sudo dhclient -r && sudo dhclient
DNS 캐시 비우기
Windows: ipconfig /flushdns macOS: dscacheutil -flushcache; sudo killall -HUP mDNSResponder Linux: sudo systemd-resolve --flush-caches
용어 정리
- 공인 IP: 통신사로부터 할당되어 외부에 보이는 IP
- 내부 IP: 사설망에서 기기에 부여되는 IP
- NAT: 여러 내부 IP를 하나의 공인 IP로 변환
- CGNAT: 통신사 레벨 NAT. 개인이 포트 개방이 어려울 수 있음
- DHCP: 자동으로 IP를 배정하는 프로토콜
- IPv4 - IPv6: IP 주소 체계. IPv6는 주소가 매우 많고 최신
자주 묻는 질문 20
1. 공인 IP와 내부 IP 중 무엇이 중요한가요?
외부 접속이나 지역 제한 이슈는 공인 IP가 중요하고, 장치 설정과 포트포워딩은 내부 IP가 중요합니다.
2. 내 공인 IP는 왜 가끔 바뀌나요?
대부분 가정 회선은 유동 IP라서 모뎀 재접속, 통신사 정책, 임대 시간 만료 시 변경됩니다.
3. 고정 공인 IP를 쓰려면 어떻게 하나요?
통신사에 고정 IP 옵션을 신청하거나 DDNS를 사용해 도메인으로 접속하도록 설정합니다.
4. 공유기 WAN에 100.64.x.x가 보이면 문제가 있나요?
CGNAT 범위라 포트포워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고정 IP나 비CGNAT 옵션 문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사설 IP 대역은 무엇인가요?
10.0.0.0/8,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16 대역입니다.
6. 내부 IP가 169.254.x.x로 나와요.
APIPA 자동 할당 상태입니다. DHCP 서버에 연결되지 못한 것입니다. 라우터 - 케이블 - 어댑터를 점검하세요.
7. 회사 VPN을 연결하면 공인 IP가 바뀌는 이유는?
트래픽이 VPN 게이트웨이를 통해 나가기 때문입니다. 스플릿 터널링 여부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가 우회됩니다.
8. 포트포워딩이 동작하지 않아요.
이중 NAT, CGNAT, 방화벽, 잘못된 내부 IP 지정, ISP 포트 차단을 확인하세요.
9. 동시 접속이 많을 때 인터넷이 느려집니다.
NAT 세션 한계, QoS 미설정, 무선 간섭 가능성이 있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와 채널 변경을 고려하세요.
10. 스마트폰에서 내부 IP와 공인 IP를 어떻게 구분하나요?
Wi-Fi 상세에 보이는 것은 내부 IP, 브라우저 "내 IP" 검색 결과는 공인 IP입니다.
11. IPv6만 켜면 포트포워딩 없이도 접속 가능한가요?
이론상 가능하지만 단말 방화벽과 ISP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안 규칙을 반드시 설정하세요.
12. 동일 네트워크에서 고정 IP를 직접 지정해도 되나요?
DHCP 범위와 겹치지 않게 설정하면 됩니다.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DNS도 정확히 입력하세요.
13. 외부에서 NAS에 접속하려면 공인 IP가 필수인가요?
필수는 아니며, 클라우드 릴레이, 리버스 프록시, VPN 등 대안이 있습니다
.14. 공인 IP로 개인 정보가 바로 노출되나요?
대략적인 지역 정도만 추정이 가능할 뿐 개인 식별 정보는 직접 노출되지 않습니다.
15. 내부 IP가 자꾸 바뀌는데 고정으로 쓰고 싶어요.
공유기에서 DHCP 예약 기능을 사용해 MAC 주소에 특정 IP를 고정하세요.
16. 게이트웨이 주소를 잊어버렸어요.
Windows는 ipconfig
, macOS는 netstat -nr
, Linux는 ip route
로 확인합니다.
17. 공용 Wi-Fi에서 포트포워딩을 쓸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불가합니다. 보안상 제한되어 있고, CGNAT나 방화벽이 적용됩니다.
18. 원격 데스크톱이 간헐적으로 끊깁니다.
공인 IP 변경, 포트 충돌, 대역폭 부족, 이중 NAT를 확인하고 가능하면 VPN을 사용하세요.
19. 게임 핑이 높을 때 공인 IP는 영향이 있나요?
공인 IP 자체보다 라우팅 경로, 서버 위치, ISP 혼잡, QoS가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20. 내부 IP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줘도 안전한가요?
내부만으로는 외부 접근이 어렵지만, 불필요한 정보 공유는 피하고 원격 포트 개방 시에는 반드시 방화벽을 구성하세요.
'잡다구리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트가 다운되었거나 사용할 수 없음 문제 해결 방법(티스토리 애드센스 심사 중) (4) | 2025.08.29 |
---|---|
업데이트 제거 방법 Windows 업데이트 후 컴퓨터가 이상하다면?(Window 10/11) (0) | 2025.08.27 |
소변에서 지린내가날 때, 오줌에서 냄새가 심한 이유 (3) | 2025.08.23 |
동물 IQ 순위(침팬치, 코끼리, 까마귀, 돼지, 문어, 강아지, 고양이, 앵무새, 쥐) (2) | 2025.08.21 |
걸을때마다 발뒤꿈치 통증 원인과 증상, 해결방법, 예방, 약물, 치료(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염, 지간신경종) (2) | 2025.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