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1장
민수기 21장 1절 - 3절 호르마를 점령하다
민수기 21장 4절 - 9절 구리뱀으로 백성을 구하다
민수기 21장 10절 - 20절 비스가 산에 이르는 행군 경로
민수기 21장 21절 - 35절 요르단 동쪽을 점령하다
민수기 21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 여정 중에 겪은 시험과 전쟁, 그리고 하나님의 구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불평과 심판, 회복과 승리라는 흐름이 교차하는 장입니다.
(민수기 21장 1절)
네겝에 거주하는 가나안 사람 곧 아랏 왕이 이스라엘이 아다림 길로 온다 함을 듣고 이스라엘과 싸워 그들 중 몇 사람을 사로잡은지라
(민수기 21장 2절)
이스라엘이 여호와께 서원하여 이르되 주께서 이 백성을 내 손에 넘겨 주시면 내가 그들의 성읍을 다 멸하리이다 하니
(민수기 21장 3절)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목소리를 들으시고 가나안 사람을 그들의 손에 넘겨 주시매 그들과 그들의 성읍을 다 멸하니라 그러므로 그 곳 이름을 호르마라 하였더라
(민수기 21장 4절)
백성이 호르 산에서 출발하여 홍해 길을 따라 에돔 땅을 우회하려 하였다가 길로 말미암아 백성의 마음이 상하니라
(민수기 21장 5절)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하되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어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가 이 곳에는 먹을 것도 없고 물도 없도다 우리 마음이 이 하찮은 음식을 싫어하노라 하매
(민수기 21장 6절) 여호와께서 불밴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을 물게 하시므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으니라
(민수기 21장 7절)
백성이 모세에게 이르러 말하되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을 향하여 원망함으로 범죄하였사오니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 뱀들을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모세가 백성을 위하여 기도하매
(민수기 21장 8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밴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아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민수기 21장 9절)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가 놋뱀을 쳐다본즉 모두 살더라
(민수기 21장 10절)
이스라엘 자손이 행진하여 오봇에 진을 쳤고
(민수기 21장 11절)
또 오봇에서 행진하여 모압 맞은 편 광야 이예 아바림에 진을 쳤고
(민수기 21장 12절)
또 거기서 행진하여 세렛 골짜기에 진을 쳤고
(민수기 21장 13절)
또 거기서 행진하여 아르논 강 건너편에 진을 쳤으니 아르논은 모압과 아모리 사이에 있어서 모압 변경의 경계라
(민수기 21장 14절)
이러므로 여호와의 전쟁기록에 『숩바의 와헙과 아르논 골짜기와
(민수기 21장 15절)
모든 골짜기의 비탈 곧 아르의 성읍에 임한 것과 모압 변경에 접한 것』이라 하였더라
(민수기 21장 16절)
거기서부터 그들은 브엘에 이르렀으니 브엘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기를 백성을 모으라 내가 그들에게 물을 주리라 하시던 우물이라
(민수기 21장 17절)
그 때에 이스라엘이 노래하여 이르되 우물은 솟아라 너희는 그것을 노래하라
(민수기 21장 18절)
이 우물은 지휘관들이 팠고 백성의 귀인들이 규와 지팡이로 판 것이로다 하고 그 광야에서 마타나에 이르렀고
(민수기 21장 19절)
마타나에서 나할리엘에 이르고 나할리엘에서 바못에 이르고
(민수기 21장 20절)
바못에서 모압 들에 있는 골짜기에 이르러 비스가 산 꼭대기에 이르러 광야를 내다보게 되었더라
(민수기 21장 21절)
이스라엘이 아모리 왕 시혼에게 사신을 보내어 이르되
(민수기 21장 22절)
우리에게 당신의 땅을 지나가게 하소서 우리가 밭이나 포도원으로 치우치지 아니하고 우물물도 마시지 아니하고 당신의 영토를 통과하기까지 왕의 큰 길로만 지나가리이다 하나
(민수기 21장 23절)
시혼이 이스라엘이 자기 경계를 지나가는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고 그 모든 백성을 모아 이스라엘을 치러 광야에 나아와 야하스에 이르러 이스라엘을 치므로
(민수기 21장 24절)
이스라엘이 칼날로 그들을 쳐서 이기고 그 땅을 아르논에서부터 얍복까지 점령하였으니 곧 암몬 자손의 경계까지라 이는 암몬 자손의 경계는 견고하였더라
(민수기 21장 25절)
이스라엘이 그 모든 성읍을 빼앗고 아모리 사람의 모든 성읍 곧 헤스본과 그 모든 촌락에 거주하였으니
(민수기 21장 26절)
헤스본은 아모리 왕 시혼의 성읍이라 그가 모압의 전 왕을 쳐서 그의 모든 땅을 아르논까지 그의 손에서 빼앗았었더라
(민수기 21장 27절)
그러므로 시인이 말하기를 너희는 헤스본에 올지어다 시혼의 성읍을 세우고 든든히 하리로다
(민수기 21장 28절)
헤스본에서 불이 나오며 시혼의 성읍에서 불꽃이 발하여 모압의 아르를 삼키며 아르논 높은 곳의 주인을 멸하였도다
(민수기 21장 29절)
모압아 너 화 있을진저 그모스의 백성아 너 망하였도다 그가 그의 아들들을 도망하게 하였고 그의 딸들을 아모리 왕 시혼의 포로가 되게 하였도다
(민수기 21장 30절)
우리가 그들을 쏘아 멸하였도다 헤스본에서 디본에 이르기까지와 놉바에서 메드바에 이르기까지 황폐하였도다 하였더라
(민수기 21장 31절)
이스라엘이 아모리 사람의 땅에 거주하였더니
(민수기 21장 32절)
모세가 또 야셀을 정탐하게 하고 그 촌락들을 빼앗고 거기 있는 아모리를 쫓아내었더라
(민수기 21장 33절)
그들이 돌이켜 바산 길로 올라가매 바산 왕 옥이 그의 모든 백성을 거느리고 나와서 그들을 맞아 에드레이에서 싸우려 하는지라
(민수기 21장 34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그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그와 그의 모든 백성과 그의 땅을 네 손에 넘겼으니 네가 헤스본에 거주하는 아모리 사람 시혼에게 행한 것 같이 그에게 행하리라 하시니라
(민수기 21장 35절)
이에 그와 그의 아들들과 그의 모든 백성을 쳐서 한 사람도 남기지 아니하고 그의 땅을 점령하였더라
민수기 21장 요약 및 교훈
민수기 21장 1절 - 3절 아랏과의 전쟁 승리
가나안 사람 아랏 왕이 이스라엘을 공격합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께 서원하며 싸워 승리하고, 그 성읍을 “호르마”라 부릅니다.
👉 교훈: 위기 속에서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는 기도와 서원이 승리를 이끕니다.
민수기 21장 4절 - 9절 불뱀과 놋뱀 사건
백성이 지치고 음식·물이 없다고 불평하다가, 하나님께서 불뱀을 보내심. 많은 이가 물려 죽습니다.
모세가 중보하자, 하나님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고 하십니다. 뱀에 물린 자가 놋뱀을 바라보면 살게 됩니다.
👉 교훈: 불순종은 죽음을 불러오지만, 하나님의 방법에 순종하면 생명이 임합니다.
👉 신약적 의미: 요한복음 3:14–15에서 예수님은 자신이 놋뱀처럼 들려야 함을 말씀하십니다. 곧 십자가는 죽음의 문제를 치유하는 하나님의 구원의 방법입니다.
민수기 21장 10절 - 20절 우물의 노래
이스라엘이 여행 중 만난 우물에서 "우물아 솟아나라"라는 노래를 부릅니다.
이는 광야 여정에서 하나님의 공급을 기뻐하며 찬송하는 장면입니다.
👉 교훈: 불평하던 백성이 하나님을 찬송하는 공동체로 회복되는 전환점입니다.
민수기 21장 21절 - 35절 아모리 왕 시혼과 바산 왕 옥을 정복
이스라엘은 아모리 왕 시혼에게 지나가기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하고, 전쟁을 벌여 승리합니다.
이어 바산 왕 옥도 쳐서 멸망시킵니다.
이 승리는 요단 동편 땅을 차지하는 발판이 됩니다.
👉 교훈: 하나님의 약속은 싸움 속에서도 점차 성취됩니다. 믿음의 여정에는 싸움이 따르지만, 하나님이 함께하시면 승리합니다.
민수기 21장 묵상 포인트
- 불평은 죽음을 부르고, 믿음은 생명을 불러온다.
- 하나님의 구원의 길은 우리의 상식이 아니라 순종 속에 있다. (놋뱀 사건)
- 광야에서도 찬송할 수 있다. 우물의 노래는 공급의 하나님을 기뻐하는 신앙의 고백이다.
- 믿음의 싸움에는 승리가 따른다. 시혼과 옥의 패배는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과정의 일부였다.
민수기 21장 한 줄 요약
"민수기 21장은 불평 속의 심판과 놋뱀의 구원, 그리고 하나님이 주신 승리의 이야기로, 불신에서 믿음으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준다."
'성경책 >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수기 20장 - 믿음 없는 순종과 아론의 죽음 (0) | 2025.09.09 |
---|---|
민수기 19장 - 붉은 암송아지와 정결의 물 (0) | 2025.09.07 |
민수기 18장 - 제사장과 레위인의 책임과 몫 (0) | 2025.09.05 |
민수기 17장 - 아론의 싹 난 지팡이 (0) | 2025.09.03 |
민수기 16장 - 고라의 반역과 하나님의 심판 (2) | 2025.09.01 |
댓글